반응형
2025년 청원경찰 봉급표
청원경찰은 「청원경찰법」에 따라 국가기관·지방자치단체·공기업·학교·공항·발전소 등 각종 시설에 배치돼 치안 공백을 메우는 ‘특임 보안 인력’입니다. 관공서나 주요 기반 시설을 보호하면서도 일반 경찰과 달리 사법권이 제한되는만큼, 봉급‧수당 체계가 독자적으로 운영됩니다. 2025년 4월 22일 자로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봉급 기준이 전면 조정됐습니다.
아래에서는 개정 취지, 상세 봉급표, 2024년 대비 인상률, 수당 체계, 예산·운용 시사점까지 총망라합니다.
청원경찰 제도 개요 및 2025년 개정 배경
- 법적 근거: 「청원경찰법」제6조(보수) 및 동법 시행령 제9조(보수 기준).
- 개정 이유
- 공무원 보수 인상률(2.6%)·최저임금 인상률(3.6%)을 반영해 실질 임금 보전.
- 15년·23년·30년 경계 구간별 ‘역전 현상’ 해소.
- 기관별 예산 편성 편차를 줄이기 위해 ‘직책수당·교육비’ 명목을 시행령에 명시.
- 적용 시기: 2025년 1월 급여부터 소급 적용(4월 22일 고시).
2025년 청원경찰 봉급표(월 지급액, 단위: 원)
호봉 | 15년 미만 | 15년 이상 23년 미만 |
23년 이상 30년 미만 |
30년 이상 |
1 | 2,000,900 | - | - | - |
2 | 2,031,100 | - | - | - |
3 | 2,070,500 | - | - | - |
4 | 2,119,500 | - | - | - |
5 | 2,178,700 | - | - | - |
6 | 2,248,900 | - | - | - |
7 | 2,331,000 | - | - | - |
8 | 2,420,900 | - | - | - |
9 | 2,507,300 | - | - | - |
10 | 2,590,200 | - | - | - |
11 | 2,669,500 | - | - | - |
12 | 2,747,900 | - | - | - |
13 | 2,823,400 | 3,014,600 | - | - |
14 | 2,896,700 | 3,090,800 | - | - |
15 | 2,966,700 | 3,164,000 | - | - |
16 | 3,034,400 | 3,234,800 | - | - |
17 | 3,100,600 | 3,300,700 | - | - |
18 | 3,162,300 | 3,364,700 | - | - |
19 | 3,222,900 | 3,426,200 | 3,830,300 | - |
20 | 3,280,600 | 3,484,800 | 3,893,200 | - |
21 | 3,334,900 | 3,540,600 | 3,953,300 | - |
22 | 3,387,400 | 3,594,300 | 4,010,000 | - |
23 | 3,437,300 | 3,645,400 | 4,064,800 | - |
24 | 3,485,200 | 3,694,800 | 4,116,900 | 4,403,100 |
25 | 3,530,600 | 3,741,600 | 4,166,100 | 4,455,700 |
26 | 3,572,100 | 3,787,000 | 4,213,400 | 4,503,800 |
27 | 3,607,600 | 3,824,800 | 4,253,300 | 4,544,900 |
28 | 3,641,800 | 3,861,300 | 4,290,500 | 4,584,600 |
29 | 3,674,800 | 3,895,700 | 4,326,500 | 4,622,100 |
30 | 3,707,100 | 3,929,100 | 4,361,000 | 4,657,300 |
31 | 3,738,400 | 3,961,500 | 4,393,300 | 4,691,100 |
자료: 「청원경찰법 시행령」 별표 1, 2025.4.22 |
재직기간 구간을 나눈 이유
- 15년 미만: 승진·호봉 승급이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구간.
- 15년 이상 23년 미만: 숙련도 상승 구간. 조직 내 중견 간부로서 반장·대장 보직을 맡을 확률이 높음.
- 23년 이상 30년 미만: 사실상 조직 내 ‘베테랑’ 단계. 지휘·감독 책임이 크고 근속승진 외 인사 폭이 좁음.
- 30년 이상: 정년(만 60세) 직전까지 잔여 근무기간을 고려해 다소 완만한 인상폭 설정.
2024년 대비 인상률 분석
구분 | 2024년 | 2025년 | 증감(원) | 인상률 |
1호봉(15년 미만) | 1,870,000 | 2,000,900 | +130,900 | +7.0% |
15호봉(15년 미만) | 2,855,600 | 2,966,700 | +111,100 | +3.9% |
19호봉(23년 이상) | 3,557,100 | 3,830,300 | +273,200 | +7.7% |
- 평균 인상률: 약 4.2%
- 특이 사항: 19·20호봉 이상 ‘베테랑 구간’이 7%대 고인상. 중‧하위 구간은 물가상승률 수준 인상. 이는 역전현상 방지와 장기근속 유인을 동시에 노린 결과로 풀이됩니다.
청원경찰 수당 체계 정리
수당은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되, 직무 특성을 반영한 항목이 추가됩니다.
- 가계보전수당: 가족수당·급식비·명절휴가비·자녀학비보조 등.
- 실비변상: 출장여비·특수근무여비·피복비.
- 정근수당(1·2월 지급): 재직기간별 5%~50% 가산.
- 성과상여금(4월 지급): 기관별 직무·평가등급에 따라 차등.
- 직책수당(월 지급)
- 대장 50,000원
- 반장 40,000원
- 조장 30,000원
- 기본교육비(2주 기준)
- 하절기 176,670원
- 동절기 178,630원
청원경찰 연봉 시뮬레이션
구분 | 기본급(월) | 연 기본급 | 예상 수당합(연) | 추정 총보수 |
신입 1호봉 | 2,000,900 | 24,010,800 | 4,920,000 | 28,930,800 |
19호봉(23년 이상) + 반장 | 3,830,300 | 45,963,600 | 8,040,000 | 54,003,600 |
수당은 가족수당(두 자녀 기준)·급식비·정근수당·명절휴가비·직책수당(반장)·성과상여금(B등급) 등 평균치를 반영한 값입니다. 실제 지급액은 기관·본인 평가 결과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산‧운용 시사점
- 기관 예산 편성: 1인당 평균 3.9% 인상, 수당 상승분까지 고려하면 인건비 총액은 약 5% 증가 전망.
- 민간위탁·공공기관: 인상분을 반영하지 않으면 경력직 이탈, 노무 분쟁 리스크 확대.
- 경력 관리: ‘15년·23년·30년’ 진입 직전 호봉에서 대규모 승급이 몰리는 구조이므로, 탄력적 인사제도(예: 승진 점수제) 도입 필요.
결론
2025년 개정 봉급표는 ‘장기근속 유인+생활임금 보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절충안입니다. 신입 호봉의 7% 인상으로 초기 생활 안정성을 높였고, 23년 이상 구간의 급격한 인상으로 숙련 인력의 조직 이탈을 방지했습니다. 다만 중간 구간은 물가상승률 수준에 머물러, ‘허리’ 인력의 사기 진작 효과는 제한적이라는 평가도 있습니다. 각 기관은 예산 여력·직무 특성을 고려해 성과상여금·직책수당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봉급 인상의 편차를 완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금융 경제 직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시간외수당 단가표, 규정 (0) | 2025.07.18 |
---|---|
교도관 계급 체계 - 교도소 소장, 교정본부장 직급, 교정직 계급명칭, 2025년공안직공무원봉급표, 교도소 crpt (0) | 2025.07.17 |
혼유사고 자차 보험처리 - 경유차에 휘발유주입 (0) | 2025.07.15 |
2026년 공무원연금 인상률 전망 (0) | 2025.07.14 |
9급 군무원 연봉 직군 종류, 합격률, 채용 절차 (0) | 2025.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