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경제 직장

공무원 시간외수당 단가표, 규정

by 하누혀누IT 2025. 7. 18.
반응형

2025년 공무원 시간외수당 단가표· 공무원 시간외수당 지급 규정 완전 정복

새해부터 최저임금이 시급 10,030원으로 확정되면서, 공무원에게 지급되는 시간외근무수당(초과근무수당)-단가도 일제히 인상되었습니다. 직종·계급별로 세밀하게 차등화된 이번 단가표는 2024년 대비 평균 약 3 % 상승했고, 야간근무수당·휴일근무수당 역시 각각의 가중계수를 반영해 조정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 법적 근거와 산정 방식
  • 직종·계급별 2025년 단가
  • 지급 한도·승인 절차
  • 실무 관리 포인트

를 전문적이고도 중립적인 시각으로 상세히 살펴봅니다.


공무원 시간외수당 제도의 개념과 법적 근거

  • 근거 법령: 「국가공무원법」·「공무원 보수 규정」·「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 지급 요건
    • 1일 8시간·주 40시간(일부 특수 직종은 48시간) 초과 근무
    • 기관장의 사전 승인 및 전자시간외근무관리시스템 기록 의무
  • 산정 기본식
    • 시간외수당 = 직종·계급별 단가 × 실근무시간
    • 야간수당 = 시간외 단가 × 1.3(가중치)
    • 휴일수당 = 시간외 단가 × 8 시간 일괄

직종·계급별 2025년 공무원 시간외근무수당 단가표

단위: 원(시간당), 괄호 안은 야간·휴일 가중치 반영 결과

2025년 공무원 시간외근무수당 단가표

1. 일반직·특정직·별정직

  • 5급·5호봉 이상 : 15,510 (야간 5,170 / 휴일 124,680)
  • 6급·4호봉 : 13,229 (4,410 / 106,343)
  • 7급·3호봉 : 11,950 (3,983 / 96,059)
  • 8급·2호봉 : 10,729 (3,576 / 86,241)
  • 9급·1호봉 : 10,579 (3,526 / 85,040)

2. 전문경력관

  • 가군 : 15,773 (5,258 / 126,793)
  • 나군 : 12,523 (4,174 / 100,666)
  • 다군 : 10,986 (3,662 / 88,311)

3. 일반직 우정직군

  • 1급 : 18,140 (6,047 / 145,816)
  • 2급 : 16,925 (5,665 / 136,217)
  • 3급 : 15,848 (5,283 / 127,393)
  • 4급 : 14,818 (4,939 / 119,117)
  • 5급 : 14,011 (4,670 / 112,628)
  • 6급 : 13,229 (4,410 / 106,343)
  • 7급 : 11,950 (3,983 / 96,059)
  • 8급 : 10,729 (3,576 / 86,241)
  • 9급 : 10,579 (3,526 / 85,040)

4. 공안업무(검찰·교정·국정원)

  • 5급 : 16,386 (5,462 / 131,721)
  • 6급 : 13,911 (4,637 / 111,822)
  • 7급 : 12,497 (4,166 / 100,453)
  • 8급 : 11,145 (3,715 / 89,589)
  • 9급 : 10,978 (3,659 / 88,248)

5. 연구직

  • 연구관·국정원 전문관 : 15,545 (5,182 / 124,959)
  • 연구사 : 12,751 (4,250 / 102,500)

6. 지도직

  • 지도관 : 15,282 (5,094 / 122,843)
  • 지도사 21호봉↑ : 12,474 (4,158 / 100,276)
  • 지도사 20호봉↓ : 11,691 (3,897 / 93,977)

7. 경찰·소방

  • 경정·소방령 : 16,386 (5,462 / 131,721)
  • 경감·소방경 : 14,572 (4,857 / 117,137)
  • 경위·소방위 : 13,313 (4,438 / 107,018)
  • 경사·소방장 : 12,497 (4,166 / 100,453)
  • 경장·소방교 : 11,145 (3,715 / 89,589)
  • 순경·소방사 : 10,797 (3,599 / 86,791)

8. 교원(초·중등)

  • 교감·장학관·교육연구관 : 15,749
  • 30호봉↑ : 14,742
  • 20 ~ 29호봉 : 13,733
  • 19호봉↓ : 12,363
    (야간·휴일 가중치 적용 대상이 아니므로 시간외 단가만 공시)

9. 임기제

  • 일반임기제
    • 제5호 : 15,510
    • 제6호 : 13,229
    • 제7호 : 11,950
    • 제8호 : 10,729
    • 제9호 : 10,579
  • 전문임기제
    • 나급 : 15,510
    • 다급 : 13,229
    • 라급 : 11,950
    • 마급 : 10,729

10. 군인

  • 대위 : 14,354
  • 중위 : 10,919
  • 소위 : 10,620
  • 준위 : 14,322
  • 원사 : 13,608
  • 상사 : 11,501
  • 중사 : 10,713
  • 하사 : 10,516

지급 한도 및 승인 절차

  1. 월 한도: 기본 67시간 이내
    • 경찰·소방 등 외근 빈도가 높은 직군은 최대 87시간 인정 가능
  2. 사전·사후 승인
    • 사전 승인: 예정 초과근무 계획 입력 → 부서장 전자결재
    • 사후 정정: 실제 근무시간/사유 입력(7일 이내) → 내부 감사팀 무작위 점검
  3. 예산 제한
    • 부처별 예산총액-제한제로 미지급 발생 시 분기별 정산(보전지급·삭감조치)

실무자가 반드시 챙길 관리 포인트

  • 전자기록 미등록 시간 = 미지급 : 모바일 앱으로도 즉시 등록 가능하므로 실시간 입력 습관화
  • 야간 근무 자동 전환 : 22 시 이후 근무분은 시스템이 자동 1.3배 가중, 인력담당자는 오류 여부만 검수
  • 휴일 근무 8 시간 일괄 인정 : 실근무 4시간이라도 8시간 단가 적용(공무원 보수 규정 제19조)
  • 직군 간 파견·전출 시 단가도 자동 변경 : 인사발령 지연 입력 시 근거 없는 초과지급 위험
  • 연동 세금 : 시간외수당은 급여총액 산입 → 근로소득세·연금보험료 부과 대상

자주 묻는 질문(FAQ)

Q1. 9급 신규 공무원의 첫해 시간외수당은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

9급 1호봉 단가 10,579원 × 월 최대 67시간 = 월 최대 약 70만 9,000원 수준입니다.

Q2. 휴일에 10시간 일했는데 8시간만 인정되는 이유는?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은 휴일근무 보상단위를 **“1일 8시간”**으로 고정 적용하고 있습니다. 8시간 초과분은 대체휴무로 처리해야 합니다.

Q3. 현업 공무원(경찰·소방)은 월 한도를 초과할 때 추가지급이 가능합니까?

상황별(대형 재난, 선거, 태풍 등)로 장관급 승인을 득한 경우 초과분 인정이 가능합니다. 단, 예비비·추경예산 확보 후 지급합니다.


전망 및 결론

2025년 시간외근무수당 체계는 **“최저임금 연동”**이라는 원칙을 유지하되, 고위직과 현장직의 직무강도·책임도를 반영해 차등 인상을 지속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인사혁신처·기재부는 2026년부터 인력운영 효율화를 위해

  • 초과근무 상한을 주 15시간으로 단계적 축소
  • 근무실적 자동 포렌식 시스템 도입
  • 사전근무예산제(Budget Cap) 시범사업

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실무 현장에서는 제도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내부 규정·ERP를 상시 업데이트해야 과다·누락지급을 막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