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덕원-동탄 전철 노선도
인덕원 동탄 전철 노선 개요
인덕원 동탄 전철 사업 제원
- 노선 길이 : 약 39 km(본선 34 km, 인입선 5 km)
- 정거장 : 17 개(101역 인덕원 - 117역 동탄)
- 궤간·선로 : 표준궤 1 435 mm·복선 전철
- 전원 방식 : AC 25 kV 가공가선
- 설계 속도 : 120 km/h(급행·완행 병행 운영)
- 사업비 : 약 2조 8 천 억 원
- 사업 기간 : 2015 - 2028년(전 구간 착공, 2028년 말 시운전·2029년 12월 개통 목표)
전략적 의의
- 수도권 남부(안양-의왕-수원-용인-화성) 5개 시를 하나의 30 분 생활권으로 연결.
- 4호선·분당선·SRT·GTX-A·GTX-C·월곶-판교선 등 6개 노선과 환승해 서울 집중 교통망을 분산.
- “서울을 거치지 않고도 판교·광교·동탄을 직결”하는 첫 광역 간선 전철.
인덕원 동탄 복선 전철 사업 추진 현황
연혁
- 2003.12 인덕원-병점선(초안) 교통계획 보고
- 2011-14 타당성 재조사 및 노선 재설계(B/C 0.95 확보)
- 2018.03 기본계획 고시·역 4곳 추가 반영
- 2023.12 사업 실시계획 승인·전 구간 착공
- 2028.12 공사 완료 예정 → 2029.12 최종 개통 목표
공정률 & 향후 일정 (H4)
- 2025.07 전 구간 공정률 평균 28 % (교량·터널 굴착 본격화)
- 2026 시스템·궤도 공사 병행, 차량 주행시험 시작
- 2027-28 통합 시운전·안전성 검증·역사 마감 공정
- 2029.12 정식 영업 개시(급행 30 분 / 완행 46 분 소요 예상)
인덕원 동탄 전철 역별 상세 정보
가칭은 향후 역명심의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구간 | 주요 환승·특징 |
인덕원(101) | 4호선·GTX-C·월곶-판교선 예정, 평촌·과천권 허브 |
안양농수산물시장(102) | 평촌동 도매시장·안양천 수변 |
호계사거리(103) | 호계·범계·안양벤처벨리 배후 |
오전(104) | 급행 정차, 의왕-군포 산업단지 접근 |
의왕시청/고천(105) | 의왕시청·백운호수, 시 행정중심 |
북수원(106) | 수원북부·파장동, 경수대로 환승형 BUS 플랫폼 |
수원야구장(107) | KT 위즈파크·장안구청, 생활체육 중심 |
수원월드컵경기장(108) | 신분당선(광교-호매실) 예정, 수원월드컵경기장·아주대병원 |
아주대삼거리(109) | 아주대학교·가톨릭대, 캠퍼스타운 |
원천(110) | 광교호수공원, 수원컨벤션센터 접근 |
흥덕(111) | 용인 흥덕지구, 삼성전자 기흥·DS 캠퍼스 |
영통(112) | 분당선 환승, 영통·망포권 주거 밀집, 급행 정차 |
서천(113) | 망포4지구·K-컬처밸리 예정지 |
기산반월(114) | 화성 기산·반월지구, 광역버스 환승 |
능동(115) | 능동마을·동탄 1신도시 북측 |
반송(116) | 동탄호수공원·카림리시티, 동탄 트램 T1·T2 연계 |
동탄(117) | SRT·GTX-A 환승, 동탄역 복합환승센터·광역버스 |
서동탄(지선) | 경부선 병점차량기지 연결, 동탄 1·2신도시 남측 |
이상의 역 배열은 17 개 본선 역사와 병점기지선 1개를 포함한 구성으로, ‘급행 5-역·완행 17-역’ 체계를 갖춘다. |
인덕원 동탄 전철 노선도 & 환승 전략
왜 ‘경수대로-중부대로 축’인가
- 도심·외곽을 따라 S자 곡선을 최소화해 공사 난이도와 비용을 줄이면서도, 기존 도로 하부 공간을 활용해 사전 보상 부담을 절감.
- 수도권 남부 인구 400만 명의 직결 수요를 최대한 포획하도록 “1번 국도-경수대로-동탄대로” 축을 그대로 지하화.
환승 시너지 (H4)
- 인덕원 ↔ 사당·양재 : GTX-C 환승 시 강남권 10 분대 진입
- 수원월드컵경기장 ↔ 광교 : 신분당선으로 판교·강남 30 분대
- 영통 ↔ 분당 : 분당선 + GTX-A 동탄 환승 → 삼성역 25 분
- 동탄 ↔ 전국 KTX·SRT : 동탄역 SRT·GTX-A 연계, 전국고속철도망 직접 접근
경제·생활권 파급효과
- 지역별 예상 생활권 확대 인구 : 약 120 만 명
- 산업 파급 : 의왕 내륙물류단지, 수원 광교·영통 R&D 밸리, 동탄 바이오·IT 캠퍼스와의 집적 효과로 생산유발액 4조 원 이상 전망.
- 부동산 가치 : 급행 정차역 반경 500 m 주요 아파트 실거래가 상승률(2018-2024) 평균 +35 % 기록.
향후 연계 사업
- 월곶-판교선 (2029 동시 개통) : 인덕원에서 수인선·판교테크노밸리 직접 연계.
- GTX-C(개통 2032) : 인덕원에서 양주·수원 송도 직결.
- 동탄 트램 : 반송·동탄역 환승 계획 확정, 노면 전동차형 ITX 검토 중.
마무리
인덕원-동탄선은 “서울을 경유해야만 가능했던 남부 축 이동”이라는 고질적 교통 패턴을 바꿀 게임 체인저다. 수도권 남부 5개 시가 대중교통 30 분 거리로 묶이면서 기업 R&D·교육 의료·문화 시설 접근성이 대폭 높아지고, 지역 균형 발전의 속도를 끌어올릴 것이다. 2029년 개통이 가시화된 지금, 노선 주변 생활·투자 전략을 미리 점검해 두는 것이 좋겠다.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철 1호선 노선도 급행 시간표 (0) | 2025.07.22 |
---|---|
청라 7호선 연장노선도, 루원 아파트가격 (0) | 2025.07.22 |
불연성 쓰레기봉투 파는곳, 가격 (0) | 2025.07.11 |
고양이 모래 버리는 방법 벤토나이트 vs 두부모래 (0) | 2025.07.10 |
7월 인사말 모음 문구 모음집 (0)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