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인덕원 동탄 전철 노선도

by 하누혀누IT 2025. 7. 20.
반응형

인덕원-동탄 전철 노선도

인덕원 동탄 전철 노선 개요

동탄인덕원선(인동선/동인선) 노선도

인덕원 동탄 전철 사업 제원

  • 노선 길이 : 약 39 km(본선 34 km, 인입선 5 km)
  • 정거장 : 17 개(101역 인덕원 - 117역 동탄)
  • 궤간·선로 : 표준궤 1 435 mm·복선 전철
  • 전원 방식 : AC 25 kV 가공가선
  • 설계 속도 : 120 km/h(급행·완행 병행 운영)
  • 사업비 : 약 2조 8 천 억 원
  • 사업 기간 : 2015 - 2028년(전 구간 착공, 2028년 말 시운전·2029년 12월 개통 목표)

전략적 의의

  • 수도권 남부(안양-의왕-수원-용인-화성) 5개 시를 하나의 30 분 생활권으로 연결.
  • 4호선·분당선·SRT·GTX-A·GTX-C·월곶-판교선 등 6개 노선과 환승해 서울 집중 교통망을 분산.
  • “서울을 거치지 않고도 판교·광교·동탄을 직결”하는 첫 광역 간선 전철.

인덕원 동탄 복선 전철 사업 추진 현황

인덕원 동탄 전철 노선도

연혁

  • 2003.12 인덕원-병점선(초안) 교통계획 보고
  • 2011-14 타당성 재조사 및 노선 재설계(B/C 0.95 확보)
  • 2018.03 기본계획 고시·역 4곳 추가 반영
  • 2023.12 사업 실시계획 승인·전 구간 착공
  • 2028.12 공사 완료 예정 → 2029.12 최종 개통 목표

공정률 & 향후 일정 (H4)

  • 2025.07 전 구간 공정률 평균 28 % (교량·터널 굴착 본격화)
  • 2026 시스템·궤도 공사 병행, 차량 주행시험 시작
  • 2027-28 통합 시운전·안전성 검증·역사 마감 공정
  • 2029.12 정식 영업 개시(급행 30 분 / 완행 46 분 소요 예상)

인덕원 동탄 전철 역별 상세 정보

가칭은 향후 역명심의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구간 주요 환승·특징
인덕원(101) 4호선·GTX-C·월곶-판교선 예정, 평촌·과천권 허브
안양농수산물시장(102) 평촌동 도매시장·안양천 수변
호계사거리(103) 호계·범계·안양벤처벨리 배후
오전(104) 급행 정차, 의왕-군포 산업단지 접근
의왕시청/고천(105) 의왕시청·백운호수, 시 행정중심
북수원(106) 수원북부·파장동, 경수대로 환승형 BUS 플랫폼
수원야구장(107) KT 위즈파크·장안구청, 생활체육 중심
수원월드컵경기장(108) 신분당선(광교-호매실) 예정, 수원월드컵경기장·아주대병원
아주대삼거리(109) 아주대학교·가톨릭대, 캠퍼스타운
원천(110) 광교호수공원, 수원컨벤션센터 접근
흥덕(111) 용인 흥덕지구, 삼성전자 기흥·DS 캠퍼스
영통(112) 분당선 환승, 영통·망포권 주거 밀집, 급행 정차
서천(113) 망포4지구·K-컬처밸리 예정지
기산반월(114) 화성 기산·반월지구, 광역버스 환승
능동(115) 능동마을·동탄 1신도시 북측
반송(116) 동탄호수공원·카림리시티, 동탄 트램 T1·T2 연계
동탄(117) SRT·GTX-A 환승, 동탄역 복합환승센터·광역버스
서동탄(지선) 경부선 병점차량기지 연결, 동탄 1·2신도시 남측
이상의 역 배열은 17 개 본선 역사와 병점기지선 1개를 포함한 구성으로, ‘급행 5-역·완행 17-역’ 체계를 갖춘다.

인덕원 동탄 전철 노선도 & 환승 전략

인덕원 동탄 전철 노선도

왜 ‘경수대로-중부대로 축’인가

  • 도심·외곽을 따라 S자 곡선을 최소화해 공사 난이도와 비용을 줄이면서도, 기존 도로 하부 공간을 활용해 사전 보상 부담을 절감.
  • 수도권 남부 인구 400만 명의 직결 수요를 최대한 포획하도록 “1번 국도-경수대로-동탄대로” 축을 그대로 지하화.

환승 시너지 (H4)

  • 인덕원 ↔ 사당·양재 : GTX-C 환승 시 강남권 10 분대 진입
  • 수원월드컵경기장 ↔ 광교 : 신분당선으로 판교·강남 30 분대
  • 영통 ↔ 분당 : 분당선 + GTX-A 동탄 환승 → 삼성역 25 분
  • 동탄 ↔ 전국 KTX·SRT : 동탄역 SRT·GTX-A 연계, 전국고속철도망 직접 접근

경제·생활권 파급효과

  • 지역별 예상 생활권 확대 인구 : 약 120 만 명
  • 산업 파급 : 의왕 내륙물류단지, 수원 광교·영통 R&D 밸리, 동탄 바이오·IT 캠퍼스와의 집적 효과로 생산유발액 4조 원 이상 전망.
  • 부동산 가치 : 급행 정차역 반경 500 m 주요 아파트 실거래가 상승률(2018-2024) 평균 +35 % 기록.

향후 연계 사업

  • 월곶-판교선 (2029 동시 개통) : 인덕원에서 수인선·판교테크노밸리 직접 연계.
  • GTX-C(개통 2032) : 인덕원에서 양주·수원 송도 직결.
  • 동탄 트램 : 반송·동탄역 환승 계획 확정, 노면 전동차형 ITX 검토 중.

마무리

인덕원-동탄선은 “서울을 경유해야만 가능했던 남부 축 이동”이라는 고질적 교통 패턴을 바꿀 게임 체인저다. 수도권 남부 5개 시가 대중교통 30 분 거리로 묶이면서 기업 R&D·교육 의료·문화 시설 접근성이 대폭 높아지고, 지역 균형 발전의 속도를 끌어올릴 것이다. 2029년 개통이 가시화된 지금, 노선 주변 생활·투자 전략을 미리 점검해 두는 것이 좋겠다.

반응형